Newsfeed 2023
May 2023
Essential end-of-month practices to elevate your performance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NY4I82RwKNM
Our Mad Journey of Building a Vector Database in Go - Weaviate at FOSDEM 2023
Memory allocations are the big bottleneck in Go.
avo(Generate x86 Assembly with Go) is good first step to use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in Go.
April 2023
A professional is trying to win any match.
Your competitors won't wait for you to finish studying.
It's admirable to listen and learn, but it's not enough.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GlSvRpmOcAQ
There are hundreds or thousands of reasons why things don't work. It's the job of startup founders and their colleagues to make it work “in spite of” them.
Link: https://mobile.twitter.com/jooddang/status/1635429650636877826
Refined representation of technical debt
By enhancing the visibility of our technical debt, we can potentially create an opportunity to tackle it effectively.
February 2023
Excerpt from 이번엔 성공할 줄 알았지? [스머프 시즌2 ep.06 스타트업이 망하는 이유]
The odds are in your favor. The surviving companies don't even do very well themselves, and the competition is gone.
The Next Grass Is Greener - A Green Labs Retrospective(더 푸릇푸릇해질 다음 여정을 향해 - 그린랩스 회고)
Failed to create a successful product.
January 2023
What does the engineering team do?
Daily Execution that measures business metrics, finds components of them, and improves probabilistically.
Interesting idea from Hoon Park's writing 엔지니어링 팀은 무슨 일을 하는가?.
He also add four action items for the engineer.
- You must not do anything that cannot affect your business. At least it can't have a higher priority.
- No matter what you do, the results should be measurable.
- Every moment we have to think about what can be improved to increase the Y value the fastest and most significantly.
- Individual engineers should feel weird about not measuring and ask questions.
2022 센드버드 오픈 오피스 아워 ㅣ글로벌 B2B 스타트업을 만들기 위한 20 Quesetions 를 보고 인상깊었던 답변 내맘대로 정리
Q. 고객사의 커스텀 개발 요청을 어떤 기준으로, 어디까지 수용해야할까요? 제품 이점이 명확하게 강화되고 추가 고객사 확보가 가능하다면 수용하는 편입니다. 피드백 바탕으로 제품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지점인데 팀에서는 SI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어서요. 비슷한 맥락에서 고객의 목소리/요구사항에서 무엇을 반영하고(우선순위화하고), 무엇을 안 할지 정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그대로 다 만들 수도 없을 것이고 그렇게 하는게 좋은 제품을 만드는 길은 아닐듯해 어떻게 취사선택할지 고민이 됩니다.
A. 너무 고민하지 말고 해봐. 말은 우아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우아하지 않다. 고민하고 실망하고 하는 과정에서 조직에 직관이 생긴다.
링크: https://youtu.be/CewBydKrHWw?t=2642
Q. 한국 및 미국에서 요금제 구성 및 가격 최적화는 누가(콘트롤 타워) 어떤 방식으로 진행했는지 궁금합니다.
A. 창과 방패의 싸움, 영업을 위해서는 고객에게 할인을 해주어야하고, 그러면 서버는 최적화하고, 최적화하고 나면 할인할 여유가 생기고… 유지하기 힘듬, 실제로 회사 밸류에이션이나 캐시플로우에 많은 영향을 줌. 지지부진한 싸움이긴 하지만 버텨야 함. 화이팅!
링크: https://youtu.be/CewBydKrHWw?t=3700
Q. 미국으로 플립할 것을 전제로 했을 때 국내에서 VC 투자 유치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한국 기업이 글로벌 VC에게서 투자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미국법인을 만들어 한국법인을 인수하는 것을 고려해라. QSBS